절전모드는 그냥 눈을 감고 있는 상태,최대절전모드는 잠자고 있는 상태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. 장시간 자리를 비울때는 최대절전모드를 사용하죠..
하지만 노트북도 아닌 데스크탑에서 최대절전모드가 필요할 까요?
용량만 많이 차지하는 최대절전모드 파일 hiberfil.sys 을 삭제해보겠습니다.
hiberfil.sys 파일용량이 무려 3~4G..ㅎㄷㄷ.
이 파일은 하드디스크(보통 C드라이브) 루트폴더에 있습니다.
운영체제파일숨기기를 체크해제하고 숨김파일보기에 체크되어 있는 상태에서 hiberfil.sys 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.
해당 파일을 그냥 삭제하려하면 아래와 같이 삭제가 되지 않습니다.
위 운영체제파일을 보려면 탐색기를 열고 옵션을 선택합니다.
폴더옵션-보기항목에서 숨김파일,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로 버튼선택합니다.
그리고 보호된 운영체제 파일 숨기기에 체크된 것을 해제합니다.
전원 및 절전에 모두 없음으로 변경되어있는 지 확인합니다.
삭제전 C드라이브 용량입니다. 사용가능공간이 너무 적어서 가끔 문제가 생기네요.ㅠ.
루트폴더에 hiberfil.sys 3.3G 용량이네요..ㅎ
윈도우-R키를 눌러도 되고 시작-실행을 선택해도 됩니다.
아래와 같이 실행 창에 입력합니다. -h off가 hiberfil을 off시킨다는 뜻.
위와 같이 했을때 삭제안되고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 그럴때는 아래와 같이 관리자 모드로 명령창에 입력합니다. 시작-Windows PowerShell(관리자)를 선택합니다.
팝업창이 나타납니다.
명령창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.
삭제가 다 되면 프롬프트가 아래로 한칸 내려갑니다. 이게 삭제된 것입니다.
hiberfil.sys파일이 삭제되었습니다. 다음은 메모리가 부족할때 사용하는 가상메모리 pagefile.sys 도 삭제하겠습니다.
'PC오류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agefile.sys 삭제하여 하드디스크용량 확보하기 (0) | 2017.12.25 |
---|---|
컴퓨터 종료후 재부팅 될때 조치할 사항(종료안되고 무한재부팅 원인) (2) | 2017.11.02 |
윈도우설치시 알수없는 디스크발생.MBR,BAD MBR,Partition table error #105 등 블루스크린 에러해결 (0) | 2017.08.23 |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