#납땜법
1,비철금속도 가능
2,재료에 수축현상이 없다.
3,연납(450도이하)과 경납(450도이상)이 있다.
#가스납땜은 기체나 액체연료를 토치나 버너로 연소시켜 그 불꽃을 이용하여 납땜
#연납땜
1,가장 많이 사용 주석계로서 주석+납(50:50일때 용융온도가 낮고 납땜이 용이)
2,주석이 연납의 흡착작용을 돕는다.
3,용제로는 염산, 인산, 염화암모늄,염화아연, 목재수지(송진,비부식성)
#경납땜
1,은납(은+구리+아연),황동납,인동납,망간납,양은납,알루미늄납(Al납땜재의 용융점은600도)
2,용제로는 붕사,붕산,붕산염,알카리
#CO2용접조건(반자동용접)
1,용접속도는 30~50cm/min
2,와이어 - 저전류(200A미만)10~15mm
대전류(200A이상)15~25mm
<전류>
1,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용입이 깊고 비드높이는 높아지고 비드폭은 넓어진다.
또한 와이어 송급속도도 빨라진다.
2,전류가 용입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전류를 높이면 전압도 높여야 좋은 결과
3,200A이상시 입상이행으로 되어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어 주로 후판용접
<전압>
1,비드형상을 결정하는 중요요인
2,전압이 높을때 비드폭이 넓어지고 납작해지며 용입은 낮아진다.
3,전압이 낮을때 비드가 볼록하고 좁아지며 용입은 약간 깊어진다.
#아크에어가우징(둥근홈 파내기)
1,가스가우징보다 작업능률 2~3배높다.
2,직류역극성 사용(가우징토치,가우징봉,압축공기)
3,탄소아크절단장치에 6~7kg/cm2
4,소음이 적고 조작간단하고 저렴하며 응용범위가 넓다.(철,비철)
5,절단폭이 크지만 두꺼운 모재 절단용이,면이 깨끗
#용제(flux)
-목적 ; 산화물의 용융온도를 낮게 하고 산화물을 제거하며 친화력을 증가
1,연강 - 사용하지 않는다.
2,주철 - 붕사,붕산,탄산소다,탄산나트륨,중탄산나트륨
3,동합금(구리) - 붕사,붕산,플루오르화나트륨,규산나트륨
4,알루미늄 - 염화리튬,염화칼륨,염화나트륨,불화칼리,염산칼리
#용제의 역할
1,용착금속의 탈산작용
2,용착금속의 급냉방지
3,아크 안정
4,대기로부터 용융지 보호
5,합금원소의 첨가
6,비드외관을 균일하게 한다.
#용접용 토치 분류
1,구조 - 독일식(불변압식,이심형)
프랑스식(변압식,동심형)
2,압력 - 저압식(인젝트식) ; 0.07kg/cm2이하
중압식 ; 아세틸렌가스압력 0.07~1.3kg/cm2
고압식 ; 1.3kg/cm2이상
#습기가 있는 용접봉 사용시 단점
1,아크가 불안정하고 피복제가 벗겨지기 쉽다.
2,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불량해진다.
3,블로우 홀이 생긴다.
#용접부 시험법 중에서 기계적 시험법은 굽힘,인장,경도시험이다.
#일반 열처리
-뜨임(템퍼링,723도)을 제외하고는 모두 변태점(910도)이상을 가열한다.
1,담금질(소입,퀜칭) ; 급냉
- 강을 오스테나이트(감마)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은 온도로 가열 후 물이나 기름에 급냉시킨 열조작
- 강도와 경도 증가
- 냉각액의 냉각속도는 소금물2%>물>기름>공기
2,뜨임(템퍼링) ; 서냉
- 유일하게 공석점(A1,723도)이하로 재가열하여 서냉하는 열조작,
- 담금질 후 경도를 낮추고 인성을 부여한다.
- 저온뜨임(150~200도) ; 내부응력제거
- 고온뜨임(550~650도) ; 인성 증가
3,불림(소준,노멀라이징) ; 공랭
- 오스테나이트 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게 가열 후 공랭하고 더 서냉하는 열조작
- 결정립의 미세화, 표준조직
4,풀림(소둔,어닐링) ; 노냉
- 오스테나이트 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게 가열후 일정시간 유지한 뒤 노냉하는 열조작
(풀림시간은 25mm에 각 30분)
- 응력 제거, 연성의 향상, 조직의 균일화
1,비철금속도 가능
2,재료에 수축현상이 없다.
3,연납(450도이하)과 경납(450도이상)이 있다.
#가스납땜은 기체나 액체연료를 토치나 버너로 연소시켜 그 불꽃을 이용하여 납땜
#연납땜
1,가장 많이 사용 주석계로서 주석+납(50:50일때 용융온도가 낮고 납땜이 용이)
2,주석이 연납의 흡착작용을 돕는다.
3,용제로는 염산, 인산, 염화암모늄,염화아연, 목재수지(송진,비부식성)
#경납땜
1,은납(은+구리+아연),황동납,인동납,망간납,양은납,알루미늄납(Al납땜재의 용융점은600도)
2,용제로는 붕사,붕산,붕산염,알카리
#CO2용접조건(반자동용접)
1,용접속도는 30~50cm/min
2,와이어 - 저전류(200A미만)10~15mm
대전류(200A이상)15~25mm
<전류>
1,전류가 증가함에 따라 용입이 깊고 비드높이는 높아지고 비드폭은 넓어진다.
또한 와이어 송급속도도 빨라진다.
2,전류가 용입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전류를 높이면 전압도 높여야 좋은 결과
3,200A이상시 입상이행으로 되어 깊은 용입을 얻을 수 있어 주로 후판용접
<전압>
1,비드형상을 결정하는 중요요인
2,전압이 높을때 비드폭이 넓어지고 납작해지며 용입은 낮아진다.
3,전압이 낮을때 비드가 볼록하고 좁아지며 용입은 약간 깊어진다.
#아크에어가우징(둥근홈 파내기)
1,가스가우징보다 작업능률 2~3배높다.
2,직류역극성 사용(가우징토치,가우징봉,압축공기)
3,탄소아크절단장치에 6~7kg/cm2
4,소음이 적고 조작간단하고 저렴하며 응용범위가 넓다.(철,비철)
5,절단폭이 크지만 두꺼운 모재 절단용이,면이 깨끗
#용제(flux)
-목적 ; 산화물의 용융온도를 낮게 하고 산화물을 제거하며 친화력을 증가
1,연강 - 사용하지 않는다.
2,주철 - 붕사,붕산,탄산소다,탄산나트륨,중탄산나트륨
3,동합금(구리) - 붕사,붕산,플루오르화나트륨,규산나트륨
4,알루미늄 - 염화리튬,염화칼륨,염화나트륨,불화칼리,염산칼리
#용제의 역할
1,용착금속의 탈산작용
2,용착금속의 급냉방지
3,아크 안정
4,대기로부터 용융지 보호
5,합금원소의 첨가
6,비드외관을 균일하게 한다.
#용접용 토치 분류
1,구조 - 독일식(불변압식,이심형)
프랑스식(변압식,동심형)
2,압력 - 저압식(인젝트식) ; 0.07kg/cm2이하
중압식 ; 아세틸렌가스압력 0.07~1.3kg/cm2
고압식 ; 1.3kg/cm2이상
#습기가 있는 용접봉 사용시 단점
1,아크가 불안정하고 피복제가 벗겨지기 쉽다.
2,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불량해진다.
3,블로우 홀이 생긴다.
#용접부 시험법 중에서 기계적 시험법은 굽힘,인장,경도시험이다.
#일반 열처리
-뜨임(템퍼링,723도)을 제외하고는 모두 변태점(910도)이상을 가열한다.
1,담금질(소입,퀜칭) ; 급냉
- 강을 오스테나이트(감마)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은 온도로 가열 후 물이나 기름에 급냉시킨 열조작
- 강도와 경도 증가
- 냉각액의 냉각속도는 소금물2%>물>기름>공기
2,뜨임(템퍼링) ; 서냉
- 유일하게 공석점(A1,723도)이하로 재가열하여 서냉하는 열조작,
- 담금질 후 경도를 낮추고 인성을 부여한다.
- 저온뜨임(150~200도) ; 내부응력제거
- 고온뜨임(550~650도) ; 인성 증가
3,불림(소준,노멀라이징) ; 공랭
- 오스테나이트 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게 가열 후 공랭하고 더 서냉하는 열조작
- 결정립의 미세화, 표준조직
4,풀림(소둔,어닐링) ; 노냉
- 오스테나이트 상태보다 30~50도 정도 높게 가열후 일정시간 유지한 뒤 노냉하는 열조작
(풀림시간은 25mm에 각 30분)
- 응력 제거, 연성의 향상, 조직의 균일화
'취미 이야기 > 자기계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용접,특수용접기능사 기출문제 3회 (1) | 2007.09.23 |
---|---|
전기용접,특수용접기능사 기출문제 해설 요약 1회 (0) | 2007.09.09 |
용접법 기본정리 (0) | 2007.08.20 |

사용자 정의 검색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