직무 분야 |
화공 및 세라믹 |
자격 종목 |
위험물기능사(제1류∼제6류) |
적용 기간 |
2007.1.1∼2010.12.31 | |||||||
○직무내용 :위험물을 저장∙취급하는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안전하게 저장∙취급하고 일반 작업자를 지시 감독하며, 각 설비에 대한 점검과 재해 발생시 응급조치 등의 보안상 안전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| ||||||||||||
필기검정방법 |
객관식 |
문제수 |
60문항 |
시험시간 |
1시간 | |||||||
필 기 과목명 |
출제 문제수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 ||||||||
화재 예방과 소화방법 및 위험물의 화학적 성질과 취급 |
60 |
1. 소화약제 및 소화기
2. 화재 예방 및 소화 방법
3. 소방시설의 설치 및 운영 |
1. 소화약제
2. 소화기
1. 화재 및 소화
2. 화재 예방 및 소화 방법
1. 소화설비의 설치 및 운영
2. 경보설비의 설치 및 운영
3. 피난설비의 설치 및 운영 |
1. 소화약제 종류 2. 소화약제별 소화원리 및 효과 1. 소화기별 종류 및 특성 2. 소화기별 원리 및 사용법
1. 연소이론 2. 소화이론 3. 발화 및 폭발 4. 화재의 분류 및 특성
1. 각종 위험물의 화재 예방 2. 각종 위험물의 화재 발생 시 조치 방법
1. 소화설비의 종류 및 특성 2. 소화설비 설치 기준 3. 위험물별 소화설비의 적응성 4. 소화설비 사용법
1. 경보설비 종류 및 특징 2. 경보설비 설치 기준 3. 경보설비 사용법
1. 피난설비 종류 및 특징 2. 피난설비 설치 기준 3. 피난설비 사용법 4. 피난방법 |
필 기 과목명 |
출제 문제수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
|
|
4. 위험물의 종류 및 성질 |
1. 산화성 고체
2. 가연성 고체
3.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
4. 인화성 액체
5. 자기반응성 물질
|
1. 제 1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1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1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1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1류 위험물의 화재 예방 및 진압 대책
1. 제 2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2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2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2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2류 위험물의 화재 예방 및 진압 대책
1. 제 3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3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3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3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3류 위험물의 화재 예방 및 진압 대책
1. 제 4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4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4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4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4류 위험물의 화재 예방 및 진압 대책
1. 제 5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5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5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5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5류 위험물의 화재 예방 및 진압 대책 |
필 기 과목명 |
출제 문제수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
|
|
5. 위험물안전관리 기준 |
6. 산화성 액체
1. 위험물 저장∙ 취급∙운반기준
2. 위험물안전관리 법령 및 고시 |
1. 제 6류 위험물의 종류 2. 제 6류 위험물의 지정 수량 3. 제 6류 위험물의 성질 4. 제 6류 위험물의 위험성 5. 제 6류 위험물의 화재예방 및 진압 대책
1. 위험물 제조, 저장 및 취급 시설의 설치 및 운영 2. 운반 기준 및 운반시설의 제조 및 운영 3. 포장 기준 및 포장시설의 제조 및 운영 4. 위험물의 폐기방법
1. 위험물안전관리법에 관한사항 2.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령에 관한 사항 3.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에 관한 사항 4. 위험물안전관리에 관한 세부기준 |
직무 분야 |
화공 및 세라믹 |
자격 종목 |
위험물기능사(제1류) |
적용 기간 |
2007.1.1∼2010.12.31 | |||||
○직무내용 :위험물의 저장∙취급하는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안전하게 저장∙취급하고 일반 작업자를 지시 감독하며, 각 설비에 대한 점검과 재해 발생시 응급조치 등의 안전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○수행준거 :제 1류 위험물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및 숙련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 제 1류 위험물을 직접 취급하고 각종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 산업 현장에서 위험물 및 소방 시설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을 것 | ||||||||||
실기검정방법 |
복합형(필답형 + 작업형) |
시험시간 |
2시간정도 | |||||||
실기과목명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 |||||||
제1류 산화성 고체 |
1. 위험물 안전
2. 위험물 시설 |
1. 위험물의 특성 파악하기
2. 위험물 안전 관리 이해하기
1. 위험물 관련 시설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험 예방하기
|
1. 위험물의 성상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위험물의 연소 및 폭발성과 영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
1. 위험물의 제조, 취급, 저장, 운반 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산화성 고체 위험물의 사고 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.
1. 위험물의 취급, 제조, 저장, 운반 시설의 방화성과 소화 예방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위험물의 화재 또는 폭발의 확산 방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. 3. 위험물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설치, 점검 및 사용 방법을 알 수 있어야 한다. 4. 기타 위험물 관련 시설의 화재예방 을 할 수 있어야 한다.
|
실기과목명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
|
|
2. 위험물 관련 시설의 소방시설 사용과 화재 (또는 폭발) 대응하기 |
1. 소화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2. 경보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3. 위험물 화재시 대응을 할 수 있어 야 한다. 4. 기타 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|
직무 분야 |
화공 및 세라믹 |
자격 종목 |
위험물기능사(제2류) |
적용 기간 |
2007.1.1∼2010.12.31 | |||||
○직무내용 :위험물의 저장∙취급하는 제조소등에서 위험물을 안전하게 저장∙취급하고 일반 작업자를 지시 감독하며, 각 설비에 대한 점검과 재해 발생시 응급조치 등의 안전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○수행준거 :제2류 위험물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및 숙련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것 제2류 위험물을 직접 취급하고 각종 사고 예방을 위해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 산업 현장에서 위험물 및 소방 시설 점검 등을 수행할 수 있을 것 | ||||||||||
실기검정방법 |
복합형(필답형 + 작업형) |
시험시간 |
2시간정도 | |||||||
실기과목명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 |||||||
제2류 가연성 고체 |
1. 위험물 안전
2. 위험물 시설 |
1. 위험물의 특성 파악하기
2. 위험물 안전 관리 이해하기
1. 위험물 관련 시설의 특성을 이해하고 위험 예방하기
|
1. 위험물의 성상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위험물의 연소 및 폭발성과 영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
1. 위험물의 제조, 취급, 저장, 운반 시 안전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산화성 고체 위험물의 사고 시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.
1. 위험물의 취급, 제조, 저장, 운반 시설의 방화성과 소화 예방을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. 2. 위험물의 화재 또는 폭발의 확산 방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. 3. 위험물 제조소등의 소방시설 설치, 점검 및 사용 방법을 알 수 있어야 한다. 4. 기타 위험물 관련 시설의 화재예방 을 할 수 있어야 한다.
|
실기과목명 |
주요항목 |
세 부 항 목 |
세 세 항 목 |
|
|
2. 위험물 관련 시설의 소방시설 사용과 화재 (또는 폭발) 대응하기 |
1. 소화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2. 경보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3. 위험물 화재시 대응을 할 수 있어 야 한다. 4. 기타 설비의 적응성과 구조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. |
'취미 이야기 > 자기계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위험물 산업기사에 관해서 (0) | 2007.05.20 |
---|---|
위험물기능사 취득후 자격, 독학가능 (0) | 2007.05.20 |
2007년 기능사 시험 일정, 4회,5회 응시가능 (0) | 2007.05.20 |

